반응형
1. 변수란?
- 변수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값이다.
- 변수는 저장소 개념이다.
- 1 byte = 8 bit
예제) 1
int point = 100; // = 은 대입연산자라고 불림
System.out.println("1번 고객에게 " + point + "포인트 지급하였습니다.");
System.out.println("2번 고객에게 " + point + "포인트 지급하였습니다.");
System.out.println("3번 고객에게 " + point + "포인트 지급하였습니다.");
/* 목차. 3.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값을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다. */
System.out.println("=========================== 변수에 저장된 값 변경 테스트 ==========================");
int sum = 0;
// soutv : 가까운 변수를 출력해주는 기능
System.out.println("sum = " + sum);
sum = sum + 10; // 대입 연산자 오른쪽은 항상 값이다!!!!!!
System.out.println("sum에 10을 더한 2번째 sum = " + sum); // 10 출력
sum = sum + 10;
System.out.println("sum에 10을 더한 3번째 sum = " + sum); // 20출력
- 변수를 선언한다 → 공간을 만든다.
ex ) int inum;
- 초기화 한다 → 초기값을 설정한다.
- 남들이 봐도 이해할 수 있는 변수를 설정해야 함. (ex bonus → 누가 봐도 보너스라고 생각한다.)
- Compiler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하기 쉽게 바꿔주는 역할이다. (번역기)
앞으로 Compile 이라는 단어를 많이 볼 예정이다. Compile 오류 나중에 정리해 보겠다.
2. 변수의 종류

* 숫자형 변수는 저장소 개념이지만 문자열 변수의 경우, 참조형 변수로 다른곳으로 가기 위한(값을 저장한)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.
String name = “홍길동”; 일 경우, 홍길동이 name에 저장돼 있을거라 생각하지만 그저 다른 곳으로 가기 위한 주소일 뿐이다.
→ 엄밀히 따지면 4Byte 정수형으로 저장된다.
- 정수형 중 가장 많이 쓰는 int의 범위는 (-2,147,483,648 ~ 2,147,483,647) 참고만 하자!!
3. 상수 선언
final int AGE; // 상수는 변수와의 차별성을 위해 상수명을 대문자로 짓는다.
예제) 2
/* 목차. 2. 값 초기화(대입) */
AGE = 20;
// AGE = 30; 한 번 초기화 한 이후 값을 대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. (상수니까, 변수는 가능!)
/* 목차. 3. 필요한 위치에서 호출 사용 */
System.out.println("AGE = " + AGE);
★ 오늘의 유용한 설정
앞으로 포스팅 할 때마다 알아두면 좋을 설정들을 함께 올려 보겠다. 엄청 간단한 것도 있을 거고 복잡한 설정들도 있겠찌만, 공부한 내용들은 내 것으로 만드리라...! (많이 쌓이면 카테고리를 만들예정.... 과연...)
① shift + f6
Intelli J 프로젝트 내에 Package나 class 를 생성할 때 오타로 인해 잘못 만들어진 경우, 쉽게 수정 가능하다.
Package나 class 이름 변경 단축기 → shift + f6
이 단축기는 코드 작성 시, 변수 이름을 바꾸고 싶을 때에도 한 번에 바꿀 수 있다.
바꿀 변수 클릭 → shift + f6 → 바꿀 이름 설정.
오늘은 여기까지.
반응형
'Language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Switch문을 이용한 자판기 코드 전 / 후(break;) (0) | 2024.09.03 |
|---|---|
| 스캐너 오류 발생 시 해결 방법 체크 (인덱스 index) (9) | 2024.09.03 |
| 리턴(return) 기본 정보 및 메서드 추가 정리 (4) | 2024.09.02 |
| 메서드 기본( with static) (0) | 2024.09.02 |
| 연산자 (대입연산자 / 증감연산자 / 비교연산자) (0) | 2024.08.27 |